프로젝트/Todo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(React.js, 스프링 부트,AWS 사 2

2

-스프링: 오픈소스의 경량 프레임워크 오픈소스: 소스코드가 공개됨 경량 프레임워크: 프레임 워크 사용 시 메모리나 CPU 자원이 많이 들지 않거나 사용이 쉽고 간편한 경우 프레임워크: 개발자들이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는 코드 ​ 스프링 프레임워크엔 여러 컴포넌트가 존재하는데, 이번 프로젝트에선 스프링 부트를 사용한다. ​ -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은 '의존성 주입' -> 이 클래스가 의존하는 다른 클래스들을 외부에서 주입시킨다. 생성자를 이용해 주입하거나, Setter을 이용해 주입한다 의존성 주입을 전문적으로 해주는 것이 의존성 주입 컨테이너이고, 그 의존성 주입 컨테이너중 하나가 스프링 프레임워크 ​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고, 관리해야하는 오브젝트가 많아질 수록 오브젝트를 생성하는데 할애하는 시간도 늘..

1

-REST 백엔드, React 프론트엔드, AWS 이용 -스프링 부트, 그래들, 메이든 리포지터리, 롬복, JPA 등 REST API 개발 -React.js와 같은 싱글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동작 방식 -JWT 이용한 인증 이론과 구현 -AWS 일라스틱 빈스톡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배포 -Route 53을 통해 DNS 등록 및 DNS를 로드 밸런서로 연결 ​ 프로젝트에 앞서 선행지식에 대해 정리 ​ -HTTP: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 ​ -HTTP의 웹서비스 사용 사용자는 브라우저라는 클라이언트 통해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,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 입력하고 엔터 누르면 브라우저는 HTTP get 요청을 해당 URL 서버에 전송, 그 결과인 HTTP 응답을 브라우저에 랜더링한다. ​ 서버 ----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