● 리눅스에서 의존성이란? - 어떤 소프트웨어나 패키지가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소프트웨어나 라이브러리 등의 구성 요소를 말한다 ex) 어떤 앱이 실행되기 위해 특정 라이브러리가 필요할 경우, 이 라이브러리는 해당 앱의 의존성이 된다. 따라서 의존성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소프트웨어는 설치되어야 하고,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해 필요한 의존성을 자동으로 처리해 준다. ● 실행권한 주기 - 리눅스에 실행 권한은 chmod 명령어를 사용한다. $ chmod +x v.sh #v.sh 파일에 실행권한 부여 $chmod -x v.sh #실행권한 제거 ● chmod 755 -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-755는 각 권한을 나타내는 3자리 숫자 첫 번째 ..